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인물 이야기

주소의 숫자화, 우편번호

주소의 숫자화, 우편번호



우편번호는 우편물 발송시 우편물의 주소별 구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코드입니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 주소를 숫자로 변환한 것으로 우리나라는 197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1884년 4월,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인 우정총국이 개국하면서 근대적 우편제도를 시행하였습니다. 우정총국은 국내우체 업무보다는 국제우체 업무에 주력한 것으로 평가되는데요, 국내우체 업무 시작 이전에 이미 외국과의 우체물 교환조약 체결을 추진해 4월에는 일본·홍콩과 약정을 맺었었고, 만국우편연합에도 가입을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해 1884년 12월 폐쇄되었습니다. 


현재 종로구 견지동에 위치한 우정총국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우리나라에 최초의 우편번호를 제정한 것은 1970년 7월 1일입니다. 청도운송선로를 따라 우편물을 배달하는 우체국 단위의 5자리 체계로 구성되어 전국의 우편번호는 1,818개였습니다. 처음 시행된 우편번호는 5자리로 큰 사각형 3자리에 작은 사각형 2자리였습니다. 하지만 번호와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않아 같은 서울이어도 우편번호가 달랐습니다. 당시 서울중앙 우체국의 우편번호는 '100' 이었고, 서울수색 우체국은 '120-01'로 제각각이었습니다. 


이렇게 제각각이던 우편번호가 1988년 2월 제1차로 개편되었습니다. 행정구역과 일치하도록 수정되고, 읍·면·동 단위를 6자리 체계로 부여하여 우편번호는 전국 5,675개로 늘어났습니다.


이후 2000년 5월 1일 제2차 우편번호가 개편되었습니다. 집배원의 담당구역과 일치되도록 지번·리 단위로 세분화되어 24,617개로 늘어났습니다.


우편번호 표기 예시 (출처: 인터넷우체국)


그리고 얼마전인 2015년 8월 1일 제3차 우편번호가 개편되었습니다. 이번 우편번호 개편은 2014년 1월, 도로명 주소 시행과 더불어 국가기초구역제도의 도입에 따라 국가 기초 구역에 부여된 5자리 번호를 우편번호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5자리 우편번호는 서울부터 사행식(북서→남동)으로 제주까지 순차적으로 부여되어 있으며, 5자리 중 앞 3자리로 시·군·자치구를 구별하고 뒤 2자리는 연번으로 부여되어 있습니다.


 바뀐 우편번호 구성 (출처: 인터넷우체국)


이제 많은 사람들이 직접 손편지를 쓰거나 편지 보내는 일이 줄어듦에 따라 자신의 집 우편번호조차 외우고 있지 않습니다. 가끔 쓰게 되는 우편번호는 단순히 5자리의 숫자인 것 처럼 보이지만 하천, 철도, 대로 등 객관적인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숫자로 부호화 한 편리한 시스템인 것이죠.  우편번호의 편리함을 기억하며, 새롭게 바뀐 우리집 5자리 우편번호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