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웅산 테러사건으로 인해 돌아가신 대한민국 정부 관계자들과 언론인
아웅산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 북한 공작원 3명이 버마를(현재 미얀마)를 순방 중인 전두환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버마 아웅산 묘소에서 저지른 폭파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장관, 함병춘 비서실장, 김재익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 등 고위 정부 관계자들이 여러 명 사망했습니다. 대통령 공식 수행원과 수행 보도진 17명이 사망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많이 희생시킨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에게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테러의 본래 목표였던 전두환 전 대통령은 예정보다 4분 정도 늦게 와서 화를 면했습니다.
(출처: 창비출판사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1983년 10월 9일 버마 아웅산 국립묘지 헌화행사에 도열한 수행원. 오른쪽부터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서상철 동자부 장관, 이계철 주 버마 대사, 함병춘 대통령비서실장이다. 이분들은 모두 이 테러사건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당시 버마는 우리나라와도 수교국이긴 했지만 사회주의 국가인 버마는 북한과 더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폭파사건이 북한의 소행임을 알리는 수사결과를 발표한 직후 버마 정부는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버마 주재 북한 대사관 요원들을 출국시켰습니다.
(출처: 창비출판사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공작원들이 사용한 수류탄에 새겨진 일련번호는 북한의 어느 공장에서 생산된 것인지 분명히 표시했고, 공작원 중 한 명인 강민철이 나중에 자백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자국의 관련설을 극구 부인했습니다.
이 범행을 저지른 북한 공작원들 중 한 명인 신기철은 그 자리에서 경찰과 대치하다가 사망했고, 두 명은 생포되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인 김진수(“진모”로 흔히 알려짐)는 재판 후 사형에 처해졌고, 남은 한 명인 강민철은 자백했다는 이유로 사형은 면하고 투옥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한 희생자들을 위해 작년에서야 현지에 순국 사절 추모비가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이 사건과 희생자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본 글은 한걸음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한걸음기자단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복 70주년, 원주 평화의 소녀상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0) | 2015.11.13 |
---|---|
4.19혁명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노력 (0) | 2015.11.13 |
경제개발 5년 계획과 경부고속도로의 건설 (0) | 2015.11.13 |
마음을 다해 부르면, <오세암> (2) | 2015.11.06 |
마리 이야기( My beautiful girl, Mari) (2) | 201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