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기자단 History

아웅산 테러사건으로 인해 돌아가신 대한민국 정부 관계자들과 언론인

아웅산 테러사건으로 인해 돌아가신 대한민국 정부 관계자들과 언론인

 

아웅산테러 사건은 1983 10 9일 북한 공작원 3명이 버마를(현재 미얀마)를 순방 중인 전두환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버마 아웅산 묘소에서 저지른 폭파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장관, 함병춘 비서실장, 김재익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 등 고위 정부 관계자들이 여러 명 사망했습니다. 대통령 공식 수행원과 수행 보도진 17명이 사망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들을 많이 희생시킨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에게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테러의 본래 목표였던 전두환 전 대통령은 예정보다 4분 정도 늦게 와서 화를 면했습니다.

 

 

(출처: 창비출판사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1983 10 9일 버마 아웅산 국립묘지 헌화행사에 도열한 수행원. 오른쪽부터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서상철 동자부 장관, 이계철 주 버마 대사, 함병춘 대통령비서실장이다. 이분들은 모두 이 테러사건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당시 버마는 우리나라와도 수교국이긴 했지만 사회주의 국가인 버마는 북한과 더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폭파사건이 북한의 소행임을 알리는 수사결과를 발표한 직후 버마 정부는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버마 주재 북한 대사관 요원들을 출국시켰습니다. 

 

 

(출처: 창비출판사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

 

공작원들이 사용한 수류탄에 새겨진 일련번호는 북한의 어느 공장에서 생산된 것인지 분명히 표시했고, 공작원 중 한 명인 강민철이 나중에 자백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자국의 관련설을 극구 부인했습니다.

이 범행을 저지른 북한 공작원들 중 한 명인 신기철은 그 자리에서 경찰과 대치하다가 사망했고, 두 명은 생포되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인 김진수(“진모로 흔히 알려짐)는 재판 후 사형에 처해졌고, 남은 한 명인 강민철은 자백했다는 이유로 사형은 면하고 투옥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한 희생자들을 위해 작년에서야 현지에 순국 사절 추모비가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이 사건과 희생자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본 글은 한걸음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