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나의 이야기

비극의 중단, 7.27 정전협정




지난 6 25, 우리는 6.25 전쟁이라는 비극에서 희생된 참전용사들에 대한 추모와 감사의 시간을 가졌는데요. 비극적인 6.25전쟁이 언제 중단(휴전) 되었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같습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잊으며 살고 있는 , 7.27 정전협정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50 6 25 6.25 전쟁이 일어난 , 계속되는 전쟁에 부담을 느낀 유엔군과 공산군은 비밀 접촉을 거쳐 1951 7 10 개성에서 정전회담을 열었는데요. 이어 1952 7 개성에서 본회담이 시작되어 같은 10 판문점으로 회담 장소를 옮겼으나, 전쟁 포로 문제 등으로 인해 9개월간 회담이 중지되었습니다. 6.25전쟁이 발발된 3 1개월만인 1953 7 27, 유엔군 총사령관과 북한군 최고사령관 중공인민지원군 사령관이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을 맺게 되었는데요. 이것이 바로 7.27 정전협정입니다.

 




휴전 협정 조인서 (출처: 국가기록원)

 

협정에서 우리는 6·25 전쟁이 중단되고 평화적 해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한국에서의 적대행위와 모든 무장행동을 완전히 정지하겠다는 내용을 북한과 협의하였는데요. 최종적으로 서명함으로써 협정이 체결되었고, 이로써 6·25 전쟁도 정지하게 되었습니다.

 

 

7.27 정전협정으로 인해 남북의 적대행위는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지만, 전쟁상태는 계속되는 국지적 휴전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는데요. 남북한 사이에는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이 설치되었고, 유엔군과 공산군 장교로 구성된 군사정전위원회 본부가 판문점에 설치되었습니다. 이후 60년이 넘도록 협정 체제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데요. 국제 관례상 정전협정이 이토록 오랫동안 지속하고 있는 경우는 한반도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보통의 경우, 정전협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평화협정 또한 자연스레 이루어지는데요. 북한 역시 1974년부터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줄곧 정전협정 서명에 참여하지 않은 한국을 제외시키고, 국제연합군 사령관인 미국인이 협정에 서명했으므로 평화협정 역시 미국과 체결해야 한다며 협정을 미뤄왔는데요. 반면 한국은 6.25 전쟁의 주된 교전 당사국은 한국이며, 이는 실질적인 평화협정 당사자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대체하는 애를 먹고 있습니다.





정전협정서(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우리나라 비극의 역사 하나인 6.25 전쟁은 7.27 정전협정으로 인해 정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완전한 아니라고 있는데요. 하루빨리 정전이 아닌, 완전한 전쟁의 중단이 되는 협정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소망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