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기자단 History

생활 속 물건 변천사

생활 물건 변천사

 

일제강점기를 겪고, 6·25 전쟁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은 많이 변했습니다. 한복을 입고, 기와집 혹은 초가집에서 살던 생활 모습에서 양옥집과 아파트 등의 주거 환경 아니라 이전과 다른 생활도구들이 점점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오늘날 경제발전의 토대가 70~80년대를 거치면서 변화는 더욱 가속화 되었습니다. 흘러간 과거를 추억하고 돌아보면서 시절에 사용했던 생활모습과 도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조선 후기

 

   

공동 우물과 물레방아

 

조선 후기부터 1920년대의 생활 모습입니다. 가정에는 개별 수도가 없어 공동 우물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 사용했습니다. 물가 옆에는 곡식을 곱게 빻아주는, 오늘날의 믹서기 역할을 주었던 물레방아가 있었습니다.

 


   

김치냉장고 역할 장독대와 부엌


 

그리고 오늘의 냉장고와 같은 역할을 했던 옹기에는 각종 된장, 고추장, 간장 음식의 맛을 내는 양념을 보관했습니다. 겨울이면 맛있는 김치를 담아 옹기에 넣고 깊은 곳에 묻고 겨우내 반찬으로 꺼내 먹었습니다. 부엌에는 가마솥이 전기밥솥을 대신했고, 투박한 모습을 하고 있는 옹기 그릇으로 밥상을 차렸습니다.

 

1930년대 - 1960년대

 


  

재봉틀과 다림질 도구

 


1930 ~ 1960년대에는 재봉틀로 옷을 비롯한 생활용품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무쇠 다리미를 불에 달궈 옷을 다리고, 옷은 자개 등으로 장식된 나무 옷장에 넣어 보관했습니다. 오늘날의 생활도구와 많이 다른 모습을 살펴볼 있습니다.

 

 

도시의 대중교통 전차

 

도시에는 대중교통수단인 전차가 다녔습니다. 전차는 1898 처음 개통되어 청량리에서 서대문을 운행하며 많은 사람들의 발이 되었습니다. 이후 자동차가 대중화되자 1969년에 폐기되었습니다.

 

1970년대

 

   

1970년대 거리와 자동차

 

1970년대 우리나라 거리의 모습입니다. 기와집과 양옥집이 섞여 있는 모습으로 본격적인 경제발전이 시작되었던 시절, 마을의 모습입니다. 1974 포니의 개발로 한국은 세계에서 16번째,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번째로 고유 모델을 생산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판매 첫해인 1976년에는 1 726(대당 227만여 ) 팔려나가 국내 시장의 43%가량을 점유하며 돌풍을 일으켰고, 에콰도르에 7대를 수출하기도 했습니다. 포니는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차 수출품이자 경제발전의 상징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체통과 공중전화

 


1970년대 이후 1980년대 후반 우리 곁에는 우편함과 전화기가 통신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빨간색 우편함에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 편지를 써서 넣으면 우체부 아저씨가 우편함의 편지를 거둬서 중앙 우체국으로 이동해 전국으로 배달되었습니다. 요즘은 개인이 전화기를 가지고 다니지만, 시절에는 주황색 공중 전화기가 마을에 설치되어 있어 공동으로 사용했습니다. 20원을 넣으면 상대방과 통화할 있었습니다. 90년대 초반까지도 있었던 공중전화기로 불과 20 전에 사용했던 오래되지 않은 생활도구입니다.

 


1980년대

 

  

1970년대 가정과 1980년대 가정

 


1970년대와 80년대 가정의 모습입니다. 위아래로 냉장, 냉동실이 분리된 작은 냉장고가 눈에 띕니다. 그리고 방을 따뜻하게 데워주던 연탄과 빨래판과 방망이로 손빨래를 하며 살았던 모습을 살펴볼 있습니다. 나무 상자 안에 있는 손바닥만 (!) 작은 텔레비전과 손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이 아닌 다이얼을 돌려 사용했던 검은 전화기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불과 20 전을 돌아봐도 그렇습니다. 평상시 사용했던 생활도구를 살펴보면 특히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있습니다. 과거의 생활도구는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은 물건이지만, 우리가 걸어온 삶을 되돌아보고 시절을 추억하게 합니다.

 

 

본 글은 한걸음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