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나의 이야기

민주주의를 위한 도약, 6.10 민주항쟁기념일

민주주의를 향한 도약

6.10 민주항쟁기념일


 

 


6월 10일은 법정기념일, 6·10 민주항쟁기념일 이라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많은 사람들이 무심코 지나버리는 6월 10일. 그러나 6월 10일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도약의 계기,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범국민적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날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시작을 알린 6월 10일 민주항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10 민주항쟁기념일

6월 민주항쟁은 1987년 「4.13호헌조치」 발표 후, 그해 6월 10일을 정점으로 20여 일 동안 전국적으로 확산된 민주화운동입니다. 6·10민주항쟁기념일은 2007년 5월 2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에 의해 '6·10 민주항쟁기념일'을 법정기념일로 제정하였습니다.

 

'6·10 민주항쟁기념일' 제정 이유

우리나라 민주주의 도약의 계기가 된 6월 민주항쟁을 기념하고, 전국민적 범위에서 기념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한 고결한 정신을 계승하기 위함입니다.

 

 


 

1987년 6월 국민평화대행진 시위자(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6월 민주항쟁에 대하여 

 

배경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 세력은 대통령 직선제 헌법 개정을 포함한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과 요구에도 강경 탄압으로 일관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1987년 4월 13일, 개헌 논의를 유보하는 「4.13호헌조치」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국민들의 실망과 분노는 높아졌고, 학계·종교계 등 각계 각층이 일어나 전두환 정권의 호헌조치 반대 성명 등 민주시국선언이 잇따르면서 민주화운동의 물결은 거세졌습니다.

 

여기에 서울대생 박종철군의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축소·조작된 것이 밝혀지고, 6월 9일 연세대생이었던 이한열군이 시위과정에서 최루탄에 맞아 의식불명에 빠지자(7월 5일 사망) 6월 10일, '박종철 군 고문 살해 은폐 조작 규탄 및 민주 헌법 쟁취 범국민 대회'가 전국적으로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이후 20여일동안 전국적인 거리집회, 시위, 농성 등이 이어졌습니다.



  

(좌)박종철 추모집회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우)이한열 운구행렬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결과

범국민적 민주화투쟁이 대규모로 확산되어가자 전두환 정권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하는 '6·29선언'을 발표 하였습니다. 이는 여·야합의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의 실현, 자유로운 출마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선거법 개정과 함께 제5공화국의 실질적 끝을 가져왔습니다.



  

(좌)6월 민주항쟁 시민들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우)6월 민주항쟁 전경들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6월 민주항쟁은 우리나라에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정치민주화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광복70년을 기념하여 주권재민과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우리 현대사의 주요 장면들을 다시 돌아보는 전시, 소장사진전Ⅱ 「시선 · 기록 · 역사 : 민주화의 길」이 4월부터 7월까지 열리고 있는데요,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에서 큰 분수령이 되었던 4·19 혁명, 5·18 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과 관련된 사건을 중심으로 현대사의 현장과 사진의 기록성을 조명해보았습니다.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