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인물 이야기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978 6 5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출간

 

문학은 사회를 반영한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문학 작품은 작가의 관점에 따라 써지며, 작가가 느끼는 동시대의 세태를 반영하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성향이 변하게 되는데요, 해당 시기의 작품을 통해 그 시기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문학 작품은 우리가 몰랐던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지요.

 

오늘은 문학 작품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다들 읽어 보셨을 법한 작품으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입니다. ‘문학은 사회를 반영한다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 중의 하나입니다.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성과 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은 난장이 아버지를 둔 영수네 일가가 서사의 중심에 놓인 모두 12편의 연작 단편들을 묶은 소설집입니다. 조세희가 쓴 이 소설은 노동자 계급의 소외로 압축되는 1970년대의 사회적 갈등에 대한 문학적 보고서 1980년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자료로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대한민국의 1970년대는 시대적으로 굉장히 혼란한 시기였습니다. 본격적인 산업 사회의 진입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산업 근대화가 우리 사회 도처에서 일어났습니다. 긍정적 목적으로 시작된 산업화는 나라 전체의 입장에서는 믿을 수 없는 경제 성장의 효과를 이뤄내지만, 그 부가 소수의 가진 자들에게 편중되어 다수의 가지지 못한 서민들은 가난에서 크게 헤어나오지 못했습니다.

 

 

1970년대 무허가 판자촌 모습(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970년 재개발로 인해 철거된 마을의 모습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난쏘공은 난장이로 상징되는 가난한 자와 거인으로 상징되는 부유한 자 사이의 대립을 바탕으로 1970년대 대한민국의 삶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는 도시화로 인해 점점 더 벼랑으로 내몰리는 도시 빈민의 생활상과 노동환경, 주거문제 등이 여러 가지 상징적 언어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난쏘공은 문학적 성취와 상업적 성공을 함께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1979년 연극무대에 올려졌고, 1981년 영화로도 제작되었습니다.

영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98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