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나의 이야기

‘쥐약 놓는 날’ 쥐잡기 운동

쥐약 놓는 날쥐잡기 운동

 

1970~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쥐잡기 운동이 범국민적으로 펼쳐졌다는 사실 아시나요? 가정, 학교, 직장, 군대, 도시와 농촌 할 것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 '쥐잡기 운동'은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남겼습니다. 잡은 쥐의 꼬리를 학교나 관공서로 가져오면 쥐꼬리 하나 당 연필 한 자루씩 바꾸어 주거나 복금(福金) 당첨권을 주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당시에는 쥐꼬리를 잘라가는 학생도, 이를 검사하는 공무원, 교사도 무척 진지했다고 하네요.

 

전국 동시 쥐잡기 운동의 시작

1970 1 26일 오후 6전국 쥐잡기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1960년대까지 시군단위로 행해지던 농림부가 범국민 운동으로 실시했는데요, 농림부는 이 운동을 위해 전국 540만 가구에 20g씩의 쥐약(인화 아연)을 무료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제 1회 전국 동시 쥐잡기 운동을 알리는 광고 (출처: 농립축산식품부)

 

당시만해도 쥐에 의한 양곡손실이 엄청났는데요, 농심부가 추산한 우리나라의 쥐는 9천만 마리로, 쥐가 먹는 식량은 한해 약 240만 섬, 240억 원 어치로 곡물 총생산량의 8%에 달하는 양이었습니다. 또한 위생 문제도 컸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쥐잡기 운동이 펼쳐질 수밖에 없었죠.

1차로 실시한 쥐잡기 운동은 쥐약을 뿌린지 20일만인 2 19일 농림부는 모두 41,541,149마리의 쥐를 소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수는 전국 학교, 관공서 등에서 수집한 쥐꼬리를 세어본 숫자였습니다. 자신감을 얻은 정부는 2차 쥐잡기 운동을 실시,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공공건물, 정부창고, 병영 등에까지 확대하였습니다. 이후에도 쥐잡기 운동은 열기를 더해갔고, 학교는 '쥐잡기 포스터 공모대회'와 '쥐 박멸 웅변대회'를 열었고 표어를 공모하기도 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표어들은 쥐는 살찌고 사람은 굶는다. 쥐를 잡아 없애자”, “일시에 쥐를 잡자. 쥐약 놓는 날, 0일 오후 7등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 후반 사라진 쥐잡기 운동, 이제는 추억 속으로

1970년대를 넘어 1980년대까지 지속되던 쥐잡기 운동은 1990년대 들어서면서 사라졌습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쥐를 접할 기회가 적어졌고, 양곡도 이전과는 다르게 제대로 된 시설에서 철저하게 관리되었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를 상징하는 범국민운동 쥐잡기 운동. 이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생겨난 역사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막 가난을 벗어날 무렵, 국민들이 국가 정책에 호응해 만들어냈던 의미 있는 일이 아니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