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는 History/인물 이야기

시민의 힘으로 다시 서는 민주주의 '부마민주항쟁'

시민의 힘으로 다시 서는 민주주의, 

'부마민주항쟁'



 

부마사태 관련 기사 (출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0월에는 잊어서는 안되는 역사적인 날이 있습니다. 물론 국경일인 10월 9일 '한글날'도 있지만, 우리 한국 사회가 민주주의 길을 밟을 수 있도록 부산과 마산의 대학생과 시민이 군사독재에 맞서 싸웠던 그 날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불타듯 뜨거웠던 36년 전 민주화의 열기를 다시 한 번 기억해볼까요?



부마민주항쟁의 배경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경상남도 부산과 마산에서 대학생 및 시민들에 의해서 반정부 항쟁이 일어났습니다. 박정희 정부의 유신체제는 정치와 사회적 갈등을 빚어왔고, 이를 지켜보던 시민들의 분노는 점점 심해졌습니다. 더불어 1970년대 말 한국경제는 제2차 오일쇼크로 인해 국내 경제는 위기에 빠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의 강력한 안정화정책은 중소기업들의 도산을 재촉하고, 기업의 부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어려운 도시 하층민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정치와 사회경제적 모순에 분노한 학생과 시민들은 '유신 철폐'와 '독재 타도'를 부르짖었습니다. 


부마민주항쟁의 시작


10월 16일 오전 10시,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교내 시위가 시작되었습니다. 교내시위가 순식간에 4천여 명으로 늘어나면서 거리로 진출하였습니다. 시위는 더욱 확대되어 저녁 7시에는 퇴근하는 회사원과 노동자, 상인, 교복 입은 고등학생까지 가세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반 시민들은 시위대를 격려하며 빵과 음료수, 물수건 등을 던져주었습니다. 

 

밤이 되자, 시위는 폭력투쟁의 양상으로 바뀌었으며, 마침내 18일 부산 일원에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전방 공수부대가 부산에 투입되었습니다. 그러나 시위는 부산을 넘어 마산으로까지 번져갔으며 많은 시민과 학생들은 유신 철폐와 독재 타도 및 언론 자유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가 전개되었습니다. 정부는 군인까지 투입하여 시위대를 진압했고,  결국 시위 나흘 만인 1979년 10월 20일, 시위는 끝이 났습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과 시민들은 경찰, 군인과 충돌하면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으며, 부산에서는 1,058명, 마산에서는 505명 등 총 1,563명이 연행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부마민주항쟁의 의미


부마민주항쟁은 학생운동이나 소수명망가들에게 국한되어 있던 민주화운동의 한계를 뛰어넘어 철옹성 같던 유신정권을 붕괴시킨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부마민주항쟁은 6월 민주항쟁의 초석을 놓았고, 이 초석을 발판으로 이루어진 6월 민주항쟁은 한국 사회를 민주주의로 이끌었습니다.

 

우리는 부마민주항쟁이 한국 정치 현대사의 중요한 민주 운동사로 그 의미와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가슴 깊이 새겨나가야 함은 물론, 민주화를 위해 앞장섰던 많은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고마움을 느끼며, 그때 그날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함께 기억해볼까요? 1979년 10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