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은 동북공정의 정식 명칭입니다. 이 긴 한자의 나열을 그대로 해석하면 '동북 변경지역의 역사, 현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과제'입니다. 그러나, 한자의 뜻과는 달리 동북공정은 현재의 중국 국경 내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다루는 프로젝트로, 고구려나 발해 등과 같은 한반도 이북 지역에 자리잡았던 우리나라 역사들을 빼앗고 있습니다.
중국은 2001년 6월에 동북공정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기로 하고, 8개월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2년 2월 28일 정부의 승인을 받아 공식적으로 동북공정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의 내부분열을 막고 통일성을 강조하기 위한 연구이자 동북지역과 그 역사의 주권에 대한 것이기도 하며, 사실 전국적인 사업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지역이 우리나라의 역사와도 관련되어 우리와 외교 문제도 걸린 복잡한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지역 (출처: 네이버 어린이백과)
동북공정의 과제들은 위탁과제와 공모과제로 구분되어 운영되는데, 대부분 비공개로 진행되고 잇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회'를 만들고 공동성명서를 만들어 발표하였으며, 다수의 사학회들과 함께 동북공정의 문제에 대한 학술토론회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시민단체에서는 2003년 12월 12일 '우리 역사 바로알기 시민연대'가 100만인 서명운동에 착수하였으며, 다양한 시민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고구려 부흥 프로젝트–21세기 대한민국 서희 찾기'를 시작하여 세계의 역사학자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관련 학자 등 1만3천 명에게 중국의 역사 왜곡의 부당함을 전자우편으로 전달하였습니다. 2006년, 정부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북아역사재단’을 출범시켰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 로고 (출처:동북아역사재단홈페이지)
이와 같은 한국의 대응에 힘입어 2004년 8월 한국과 중국의 외교 관계자가 만나 고구려사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도모하고 필요한 조치를 구두로 합의하여 한중간의 역사갈등을 일단락되는 듯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었을 뿐, 중국 내에서 역사왜곡을 담은 출판물은 계속 간행되었고, 이에 따라 2006년 동북공정은 다시금 떠오르는 논란거리가 되었습니다.
2007년 들어 5년간의 동북공정은 끝났으나 아직도 이와 비슷한 프로젝트가 중국 내에서 진행중입니다. 동북공정의 문제에 있어 가장 시급한 것은 중국이 역사 왜곡을 중단하고 한국의 역사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민 또한 우리의 역사에 관심을 갖고 우리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본 글은 한걸음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한걸음기자단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얀마음 백구 (1) | 2015.11.17 |
---|---|
분단과 전쟁으로 헤어진 가족 찾기, 1983년 6월 138일간의 현대사 (0) | 2015.11.13 |
대규모 ‘부정행위 사건’이 밝혀졌던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0) | 2015.11.13 |
광복 70주년, 원주 평화의 소녀상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0) | 2015.11.13 |
4.19혁명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노력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