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기자단 History

분단과 전쟁으로 헤어진 가족 찾기, 1983년 6월 138일간의 현대사

분단과 전쟁으로 헤어진 가족 찾기, 1983 6 138일간의 현대사

 

1983 6, 여의도 광장

영화 <국제시장>에는 흥남 철수 때 잃어버렸던 아버지와 막내여동생 막순이를 찾기 위해 이산가족찾기방송에 출연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화 속의 장면처럼 1983 6,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는 잃어버린 가족을 찾는 사람들이 넘쳐났고, 서로를 기억하는 희미한 추억들로 가득히 채운 종이가 온 벽을 도배하였습니다. 온 국민이 함께 슬퍼하고, 기뻐했던 1983 6월 대한민국의 역사적 순간이었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현장(KBS)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정책방송원)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KBS 특별 생방송의 시작

KBS가 이산가족 찾기 특별방송을 시작한 건 1983 6 30일 입니다. 이후로 11 14일까지 138453시간 45분 동안 생방송으로 방영되는 동안 출연한 이산가족은 무려 5 3536명이며, 이 중 10,189명의 이산가족이 만났습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흩어진 가족들은 서로의 생사를 알고자, 어렸을 적 기억을 떠올리며 더 잊혀지기 전에 만나기를 염원했습니다. 떨어졌던 가족들 찾기 위한 사람들은 전국을 넘어 세계 곳곳에도 있었습니다. 미국에서, 일본에서 더 먼 이국 땅에서 그리워했던 가족을 만나기 위해 서울 여의도로 모였습니다. 1983년 대한민국의 여름은 그리움으로 뜨거웠던 시간, 함께 울었던 시간으로 현대사에 기록되었습니다.

 

 

  남북 이산가족찾기 생방송현장(KBS),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정책방송원)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된 138일 간의 기록

한국은 분단과 전쟁으로 이산가족이 발생하면서 여러 문제들이 생겨났습니다. 그 중 많은 사람들이 가족들과 생이별을 하였고, 서로가 그리워만 한 채, 어떻게 찾아야 할지 막막해 하였습니다. 그때 KBS 이산가족 찾기 특별생방송을 보며, 수 십 년간 그리워하던 부모는 물론, 부부와 형제, 친척 등이 서로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이별했던 가족의 만남은 감동을 가져다 주었으며, 전쟁이 가져 온 피해와 후유증을 전 세계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현실화되는데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리고 바로 얼마 전, 201510 9일 이산가족찾기 특별생방송 방영 기록물은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관련 자료 (출처: 문화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본 글은 한걸음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