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6월이 지나가고 이제 2016년도 반밖에 남지 않았는데요. 갑자기 찾아온 것만 같은 7월만큼이나 1966년에도 우리 앞에 혜성처럼 나타난 사람이 있었습니다.
한국복싱 첫 세계챔피언! 김기수 선수를 소개해드릴게요~
1938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난 김기수는 1951년 1.4 후퇴 당시 남쪽으로 내려왔는데요. 전라남도 여수에 정착한 그는 1954년 여수 여항중학교에 들어가 육상부 단거리에서 활약하다 복싱으로 전향하였습니다. 아마추어 복싱 데뷔 후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웰터급 금메달을 따게 되고, 1961년에는 이를 계기로 프로로 전향하게 됩니다.
어려서부터 복싱에 두각을 보이던 그는 자기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경기를 만나게 되는데요. 그것은 바로 WBA 주니어미들급 세계챔피언 결정전이었습니다.
▲경기 중인 니노 벤베누티와 김기수(출처: 나무위키)
1966년 6월 25일, 서울 장충체육관의 열기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는데요. WBA 주니어미들급 세계챔피언 니노 벤베누티와 김기수 선수와의 경기가 있는 날이었기 때문입니다.
6,500명이 가득 메운 장충체육관. 대다수 전문가가 김기수가 절대 열세라고 평가했는데, 링 위에 오른 김기수 선수는 관중의 우레와 같은 박수 속에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았습니다.
경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시작과 함께 벤베누티의 왼손에 안면을 강타당한 김기수는 간신히 1회전을 버틴 후 지루한 탐색전을 계속했는데요. 하지만 초조해진 벤베누티의 큰 동작과는 달리 김기수는 차분히 거리를 유지한 채 유효 펀치를 날렸고, 이는 점수로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한국복싱 첫 세계 챔피언이 탄생하다!
‘땡!’
마침내 경기 종료를 알리는 종이 울렸습니다. 긴 침묵 속에 2-1 판정승을 선언하며 주심은 김기수의 팔을 번쩍 들어주었습니다. 한국 프로복싱 역사상 첫 세계챔피언이 탄생하는 순간이었죠! 현장에서 경기를 지켜보던 박정희 대통령도 박수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큰 기대를 받고 있던 만큼 이번 경기의 승리는 그를 한순간에 국민적 영웅으로 만들기 충분하였습니다.
WBA J.미들급 타이틀 획득 후 임택근 아나운서와 인터뷰하는 장면 (출처: 김기수 기념사업회 홈페이지)
국민에게 희망을 전하다
"김 선수, 이길 자신 있어요?"
"젖 먹던 힘까지 다해서 노력 하겠습니다.“
니노 벤베누티와의 경기를 앞두고 박정희 대통령과 김기수 선수가 나눴던 대화입니다. 이 대화 후 박 대통령이 경제기획원 장관에게 대전료를 내주라고 지시하였기 때문에 경기는 성사될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당시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131달러였던 당시, 무려 5만 5,000달러라는 높은 대전료를 지불할 만큼 영웅이 절실하게 필요하였던 우리나라, 김기수 선수의 승리는 국민들에게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희망을 주었습니다. 누군가는 그를 보며 또 다른 챔피언을 꿈꾸었겠지요. 이렇듯 김기수 선수는 우리나라 국민에게 ‘희망과 꿈’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에게 챔피언의 영광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였습니다. 2년 후 이탈리아에서 열린 원정 3차 방어전에서 챔피언 타이틀을 뺏겼기 때문이죠. 하지만 국민들의 영웅으로서 오래도록 기억되고 있는 김기수 선수, 그가 있었기에 우리나라가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던 게 아닐까요?
'즐기는 History > 인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0) | 2016.08.17 |
---|---|
자신의 나라보다 조선을 더 사랑했던 독립운동가 호머 헐버트 박사 (0) | 2016.08.12 |
푸른 눈의 독립운동가 조지 루이스 쇼(George Lewis Shaw 1880~1943) (0) | 2016.06.22 |
추억의 책받침 스타 (0) | 2016.06.20 |
영원한 어린이들의 벗, 강소천 (1) | 2016.05.04 |